![]()
■ 공연소개
2018 바로크 뮤직 페스티벌 (Baroque Music Festival)
# 짙은 가을에 떠나는 바로크 음악여행
송은주 하프시코드 리사이틀
Eunju Song Harpsichord Recital
하프시코드로는 신인연주자 이지만 이미 피아니스트로서 활발한 활동을 한 송은주의 리사이틀이 준비되어있다. 이번 축제에 참여를 하면서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마티아스 베크만,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비발디 등의 음악을 준비하고 있으며 특별히 이번 연주를 위하여 피아노의 전신악기라 할 수 있는 클라비코드(Clavichord)의 연주를 들려준다고 하니 많은 기대가 되어진다.
Harpsichord_ Eunju Song (송은주)
Traverso Flute_ Elisabeth Vestemian (엘리자베쓰 베스테미안)
Ching-Yao Wang (칭야오 왕)
Broque Cello_ Hyojung Kang (강효정)
■ Program
Toccata settima (Secondo Libro di Toccate, 1637) / Girolamo Frescobaldi(1583-1643)
챔발로를 위한 토카타 2권 중 제7곡 /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4 Variationen “Die Lieblichen Blicke” in a-Moll / Matthias Weckmann(1916-1674)
“사랑스러운 시선” 4개의 변주곡 a단조 / 마티아스 베크만
Nouvelles Suites de Pièces de Clavecin / JEAN PHILIPPE RAMEAU (1683-1764)
새로운 챔발로곡 모음집 / 장 필리프 라모
Allemande
Courante
Sarabande
Gavotte, 1er Double de la Gavotte, 2me Double, 3me Double, 4me Double, 5me Double, 6me Double
Toccata per Cembalo d'ottava stesa (Neap1723) / Alessandro Scarlatti (1660-1725)
챔발로를 위한 토카타 /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Presto – Adagio – Presto – Fuga – Adagio
Aus Sonate da camera a tre, opus 1 Sonata Nr. 12, La Follia, RV75 (1715) / Antonio Vivaldi (1678-1741)
소나타 곡집 중 제12번 “라 폴리아”, 작품75 / 안토니오 비발디
Elisabeth Vestemian / Ching-Yao Wang (Traversflöte) / Hyojung Kang
■ Profile
![]()
송은주
피아니스트, 쳄발리스트 송은주는 계원 예술 고등학교 피아노 전공을 거쳐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학과를 장학생으로 졸업하고 동대학원 최고 성적으로 졸업하였습니다.
삼익콩쿨 및 국내 여러 콩쿨에 입상과 독주회, 앙상블연주, 현대음악, 반주로 활발한 활동과 더불어 중앙대학교에서 교육조교를 시작으로 선화예중.고, 선문대, 수원 과학 대학에서 쳄발로 바로크 음악을 위한 유학의 길 전까지 꾸준하게 후학을 양성하였습니다.
바로크 음악에 심취되어 갑작스런 결단의 유학 선택으로 국내활동을 접고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mdw-Universität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Wien에서 Bachelor와 Master 쳄발로 전공하였고 현재 최고 연주자 과정에 있는 그녀는 귀국을 곧 앞두고 있습니다.
Gmunden 바로크 페스티발 및 세미나 참가하여 연주하였고 Prof. Goldon Charles Murray, Prof. Erich Traxler에게 쳄발로 사사하였고 ao-Prof. Augusta Campagne, Magdalena hasibeder에게 바소콘티누오 사사하였습니다. 풍부한 레파토리로 앙상블과 함께 많은 연주 경험과 오르간, 포르테 피아노를 부전공으로 모든 건반악기를 다루며 모던 음악 피아노전공 강단에서의 후학 양성의 많은 경험을 토대를 두고 또 다른 장르 바로크 음악의 탐구를 위해 정진하였습니다.
Traverso Flute_ Ching-Yao WANG
대만출신인 플룻리스트, 트라베리스트로서 2012년에 오스트리아 빈국립음대 Universität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Wien 플룻전공으로 입학하여 학사를 마치고 석사과정으로 재학 중인 그는 Prof. Barbara Gisler-Haase에서 사사하고 있으며 유럽내에서 앙상블과 독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015년부터는 트라베 전공을 겸하며 "historisch informierte Interpretatonspraxis" 트라베리스트 Gertraud Wimmer에서 사사로 2015년부터 쳄발리스트 송은주와는 정기적으로 앙상블로 함께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2018년 세계적인 베를린 국제 바하 콩쿨에서 International Bach Wettbewerb 그는 앙상블 Freymut로 3위를 입상하며 바로크 음악에서도 탁월한 재능을 인정받고 활동의 폭울 넓혀가고 있다.
Traverso Flute_ Elisabeth VESTEMIAN
오스트리아 출신의 플룻리스트, 트라베리스트인 그녀는 이미 5살부터 플룻을 배우고 모짜르트 짤츠부르크, 빈 국립음대, 빈 사립음대 Mozarteum Salzburg, Universität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Wien, Kunst Privatuni Wien에서 각각 수석 졸업하며 더우기 앙상블 전공도 겸하며 2017년에 석사를 마쳤다. 유럽과 중국 등 세계적으로 독주와 짤츠부르크 오케스트라 그리고 다양한 앙상블 멤버로 Con Lancio, Webern Ensemble Wien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트라베 전공을 겸하며 "historisch informierte Interpretatonspraxis" 트라베리스트 Gertraud Wimmer에서 사사로 2016년부터 쳄발리스트 송은주와는 정기적으로 앙상블로 함께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2018년 세계적인 베를린 국제 바하 콩쿨에서 International Bach Wettbewerb 그는 앙상블 Freymut로 3위를 입상하며 바로크 음악에서도 탁월한 재능을 인정받고 활동의 폭울 넓혀가고 있다.
Broque Cello_ Hyojung Kang (강효정)
예원, 예고, 서울대 음대 졸업, 동대학원 수료
독일 뒤셀도르프 음대, 쾰른 음대 졸업
(전문연주자, 최고연주자 과정)
DAAD 장학콩쿨 수상
2008 한국문화예술위 선정 신진예술가
(현)한양대 겸임교수, 전북대 강의전담교수
성신여대 대학원 출강
알테 무지크 서울 음악감독